[뉴스잇] '쉬인깡' 뭐길래…쌓여가는 헌옷, 어디로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쉬인깡이라는 말, 혹시 들어보셨나요.<br /><br />저가 상품을 주로 파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 '쉬인'에, 카드깡의 '깡'을 합친 말입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, 가격이 저렴한 점을 이용해 쉬인에서 대량으로 옷을 산 뒤에, 이중 마음에 드는 상품만 골라내는 걸 뜻합니다.<br /><br />패스트 패션이 유행하면서,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쉬인뿐 아니라 알리깡, 테무깡, 이렇게 저가 플랫폼에서 쇼핑을 하고, 그 결과물을 주변에 자랑하는 일이 유행처럼 번졌습니다.<br /><br />그렇다면 이런 보물찾기에서 탈락한 옷들은 어디로 갈까요?<br /><br />마음에 들지 않아서 버리는 옷, 동네 의류 수거함에 버리면, 중고 매장으로 가거나 기부되기도 하죠.<br /><br />하지만, 의류 폐기물로 분류돼 버려지는 게 상당수라고 합니다.<br /><br />뉴스잇, 오늘은 환경의 날을 맞아, 버려지는 의류 쓰레기 이야기로 시작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의류 수거 현장을 찾아가 봤는데요.<br /><br />먼저 영상으로 함께 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(일주일 단위로 돌아가나요?) 수거는 매일 하죠. 주말에 많이 (의류를) 버리니까 월요일은 바쁘죠."<br /><br />첫 번째 수거함만 수거하는 데 한 1분, 2분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 "계절 바뀔 때. 여름에 오면 겨울옷들 버리고. 겨울에 오면 여름옷들을 버리고… 그 두 달은 (폐의류) 양이 많아요."<br /><br /> "(하루에 나오는 양이) 1.2톤. (1.2톤이요?) 그렇죠. 하나 자루에 저게 20kg…, (자루 하나에 20~30kg 나오고) 그렇죠. (총 해서 1톤?) 1톤 넘게 나와요."<br /><br /> "어제 (수거)했는데도 또 나오고, 또 나오고…."<br /><br /> "원룸에서, 젊은 사람들이 많이 사는 곳… 연세 있으신 분 보다는 젊은 사람들이 아무래도 옷을 많이 버리시다 보니까. 젊은 사람들이 많이 사는 원룸 주변이 물건이 많이 나와요. 그냥 싸게 사고, 한 철 입고 버려 버리고… 비닐도 뜯지 않은, 새 거를 그대로 버리는 분도 계시더라고요."<br /><br /> "종량제 봉투 75리터가 하루에 10장 가지고 오면 10장 다 쓸 수도 있어요."<br /><br /> "배달 음식 남은 음식을 그냥 거기다가 넣으시는 분들도 계시고. 또 애완동물 키우시는 분들은 애완동물 배변 패드나, 이런 것도 그냥 수거함에 넣는 분이 있는데…."<br /><br />1시간 정도 의류 수거 작업을 진행했는데요.<br /><br />9개 의류 수거함을 돌았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굉장히 많은 의류 자루가 벌써 트럭에 쌓였습니다.<br /><br />한 수거함 당 2개에서 3개 자루가 나오고, 하루에 47개 수거함을 돌면 1톤이 넘는 의류가 나온다고 합니다.<br /><br /> "차가 3대로, 140개 정도 돌고 있는데 하루에 2에서 3톤 정도 수거량이 나오고 있고요. 구 안에서는 못 해도 한 5톤 정도씩은 매일 나오고 있을 겁니다. 버려지는 옷이 정말 많은 상황이고요. 안타까운 상황이죠."<br /><br /> "낡은 거랑, 너무 더럽거나, 너무 팔 수가 없을 정도…빨아도 못 팔 것 같은 그런 정도는 다시 넣어놓아요. (이 모자 되게 신상인데) 새 거예요. 택(태그)도 안 뜯었잖아요."<br /><br /> "젊은 층이 사는 지역에서는 버려지는 옷, 택도 떼지 않은 옷들이 많이 나오는 편이고요. 재활용할 수는 있지만 신중하게 구입하셔서 버려지는 옷이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."<br /><br /> "매립하는 경우도 있고, (매립이) 안 되면 해외로 동남아 이런 곳으로 수출되는데…그 나라에서도 쓰레기로 취급이 되다 보니, 결국은 전 세계적으로 쓰레기가 되는 상황인 거죠."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